줄거리
국주리는 조카와 누이를 위해 빵 한조각을 합쳐 징역살이를 하는 장발장은 탈옥을 거듭한 끝에 19년의 세월을 감옥에서 지내다가 모범수로 가석방이 된다. 하지만 가석방은 여전히 범죄인이라는 신분의 상태, 일자리 하나 구하지 못하고 계속 쫓겨다니고 굶주리다가 미리엘 주교의 도움으로 그의 집에서 따뜻한 식사를 대접받는다. 하지만 그는 미리 봐둔 은식기를 들고 밤사이 몰래 도망치다가 다시 붙잡혀 돌아온다. 그를 잡아온 경감이 주교님이 준 선물이라고 장발장이 우긴다고 하자 미리엘 신부는 그 말이 맞다고 이야기 하며, 은촛대도줬는데 왜 안가지고 갔냐며 그 자리에서 건넨다. 미리엘 신부의 거짓 증언 덕에 장발장은 감옥에 가는 걸 면하게 되고, 지난 장발장의 이름을 버리고 탈옥을 하여 '마들렌'이란 이름으로 살아간다. 몽펠리에라는 작은도시의 한 공장의 사장이 되고 마을의 시장이 된 마리에, 그의 마을에 감옥에서부터 그를 감독하던 자베르 경감이 부임한다. 자베르는 마들렌이 장발장임을 눈치채고 상부에 보고한다. 하지만 이때 수배중인
장발장이 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상사인 마들렌을 밀고한 사실을 자베르가 고백을 한다. 이 모든 이야기를 들은 마들렌은 그를 용서하지만 마음 속 갈등을 일으키고 결국 자수를 하고 다시 감옥에 들어간다 (영화와 소설과의 다른 부분, 영화에서는 자수를 하고 자신의 공장에서 일하던 여공인 판틴을 만나러 병원으로 가 자베르와 결투를 벌이다 도망간다) 시장 시절 도와준적 있는 판틴이 창녀가 되고, 그를 위해 다시 탈옥을한 후 판틴의 딸 코제트를 구하기 위해 코제트가 머무르고 있는 여관집을 찾아간다. 여관집 주인인 테나르디에는 코제트를 빌미로 판틴에게 돈을 뜯어 죽음에 이르게 한 인물로 거액을 장발장에게 요구하여 뜯어내고 코제트를 넘긴다. 장발장은 자베르의 추격을 피해 코제트와 수녀원으로 들어가 숨어 지낸다. 세월이 흘러 프랑스는 혁명의 시대에 휘말리고 시위대의 청년인 마리우스라는 청년이 우연히 장발장과 함께 있는 코제트와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시위대는 몹시 위험한 곳이므로 장발장은 마리우스를 구하기 위해 시위대가 있는 바리케이트를 찾아간다. 거기서 시위대에게 붙잡힌 자베르를 발견하고 그의 목숨을 구해주게 된다. 계속되는 진압군의 공격에 시위대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상황, 장발장은 부상을 입은 마리우스를 등에 업고 하수구를 통해 도망친다. 영화에서 하수구를 나온 장발장을 미리 기다린 자베르지만 차마 그를 잡을 수 없고 그를 놓아주고 자살을 한다. 몸이 회복된 마리우스에게 모든 사실을 이야기한 장발장은 코제트와 마리우스를 떠나 수녀원에서 삶을 마감하며 영화는 끝이 난다.
명대사
"인생은 한송이의 꽃이며 사랑은 그 꽃의 꿀과 같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신의 얼굴을 보는 것이다."
"미래를 창조하기에 꿈 만큼 좋은 것은 없다."
"비 좀 맞는다고 병에 걸리지 않아요"
"도둑이나 살인자를 두려워하지 마라. 그것은 아주 작은 위험일 뿐이다 두려운 것은 우리 자신이다."
"사랑 받지 못한다는 것은 끔찍하다 그것은 가장 최악인 일이다."
"지나가 버린 옛날 나는 꿈을 꾸었어요. 그때는 희망이 가득하고 삶은 살만한 가치가 있었죠."
총평
영화 <레미제라블>은 빅토르 위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탄생한 뮤지컬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감동적인 음악과 강렬한 연기로 많은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이 작품은 우선적으로 음악적인 요소가 매우 중요한데, 이는 감동적 인 노래와 뮤지컬 스타일의 연출로 영화 전반에 걸쳐 강렬한 감정을 전달합니다. 특히 "| Dreamed a Dream", "On My Own"등의 곡 들은 여러 장면에서 주요 감정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며, 관객들의 눈물을 자아내기도 했습니다. 또한, 영화의 촬영기법과 분장, 의상 등의 시각적 요소도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19세기 프랑스의 분위기를 잘 살려내는 배경과 의상은 시대적으로도 정확하면서도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어, 관객들을 작품 의 세계로 끌어들이게 했습니다.
이 작품은 또한 강렬한 연기력으로도 주목받았습니다. 휴 잭맨,앤 해 서웨이, 러셀 크로우 등의 배우들은 각자의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하 며, 캐릭터들의 내면을 생생하게 표현했습니다. 특히 앤 해서웨이의 열연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안겼으며, 이 역할로 아카데미 여우조 연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영화 <레미제라블>은 많은 관 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긴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음악 영화를 넘어서서 사회적 메시지와 인간의 용기 와 희생을 다룬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이들 에게 사랑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